분류 전체보기61 버그 갓겜 포켓몬스터 안녕하세요! 공우 13기, 컴퓨터공학부 이성찬입니다! '버그 갓겜 포켓몬스터'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하게 되었습니다! 포켓몬 프랜차이즈는 무척 유명하기 때문에, '피카츄 라이츄 파이리 꼬부기'라는 주제가는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출시한 이후 25년이 넘게 지난 지금까지도 포켓몬은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 전설의 시작을 열었던 첫 작품이 바로 포켓몬스터 레드/그린 버전입니다. 이 게임은 1996년 2월 27일에 발매되었고, TIMES가 선정한 50대 비디오 게임 중 하나입니다. (30위) 흔히 1세대 포켓몬이라고 부르는 총 151마리의 포켓몬이 등장하며, 이 1세대 포켓몬들은 지금까지도 포켓몬스터 개발사의 ATM 역할을 해주고 있습니다. '피카츄 라이츄 파이리 꼬부기' 모두 1세대 포켓몬 .. 2022. 6. 18. 수학 공부에 대한 고찰 최초 작성일 22년 2월 3일 과외돌이 수업을 위해 새로운 교재를 골라야 했다. 교재를 고민하던 도중 내가 생각하는 수학 공부 방법을 설명하기에 매우 좋은 예시가 생겨서 이렇게 글로 남기게 되었다. 교재를 고민하면서 동생에게 블랙라벨 수학(상) 책이 있냐고 물어봤는데, 이미 버린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나보고 현우진 뉴런 책에 있는 내용을 한 번 봤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유를 물어보니 ‘형도 그 책에 나와있는 내용 다 아나 싶어서?’라고 하길래, 한 번 훑어 봤다. 딱히 특별한 내용은 없고 기본 개념 설명 되어있는 것 같아서 어디가 특별하냐고 했더니 예시로 한 부분을 보여줬는데, \(x = a\) 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를 적분하는 방법, 점 대칭인 함수를 적분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었다. 보자마.. 2022. 4. 8. 2021 Year Review 2021년도 이렇게 마무리되었다. 돌아보면 일 밖에 안 한 것 같은 느낌이긴 한데, 그 와중에 취미 생활도 잘 챙겼고, 어쩌다 보니 연애도 하게 되었다. 2021년은 100점 만점 기준 한 80점 정도 주고 싶은 느낌이다. 뭔가 더 잘할 수 있었을 것 같은 느낌이라 그렇다. 지난 월별 회고들을 돌아보며 적당히 발췌하면 무엇을 했는지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회사 이야기 1월에 이슈가 터졌었다. 폭풍 같은 1월이어서 2020년 15월이라는 느낌이 강했다. 다행히도 2021년 13월은 없을 것 같다. 이 정도면 매우 평온한 상태인 것 같다. 2월부터는 열심히 개발을 다시 했다. 다른 팀 일이지만, 지원 용병을 뛰러 갔다. 그렇게 풀스택 개발자로 놀림을 받았고, 힘들었지만 그냥 견디기로 했다. 돌이켜 보면 .. 2021. 12. 31. 2021 November ~ December 결국 이번에도 두 달치 회고가 되어버렸다. 그리고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12월 목표는 세우지 않았다. 그래도 약간은 변명을 해보자면, 개인적으로 준비하던 대회가 있어 준비하느라 정신이 없었고, 또 회사에서 슬슬 제품 재출시를 위해 달려가고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야근이 많아졌고, 원래 하고 싶었던 일들은 자연스럽게 뒷전이 되어버렸다. 아쉽지만, 그만큼 또 얻어간 부분이 많으니 괜찮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더 잘하면 될 것이다. 🖥️ Computer Science: 전공 챙기기 원래 네크워크 개론 책을 보기로 했었는데, 거의 보지 못했다. 이 책은 산지 2년이 넘어가는데, 아직도 제대로 공부하지 않았다는게... 나 자신에게 좀 실망스러운 부분이다. 분명 9월부터 보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아직도 한 글자도 안.. 2021. 12. 31. 2021 September ~ October 분명 월간 회고를 쓰는 것이 목표였는데, 어쩌다 보니 격달로 두달 치를 쓰고 있는 것 같다? 심지어 10월 목표는 세워두지도 않았다. 회사 일이 정신 없었고 개인적으로 챙겨야 할게 많았다 보니, 늦게나마 목표를 세울까? 고민하다가 그냥 살기로 했고... 9월은 괜찮았는데 10월은 그닥 학업적인 측면에서는 성장하지 못한 것 같다. 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11~12월에는 목표를 잘 정리해두고 지켜서 2021년을 잘 마무리할 수 있으면 좋겠다! 7, 8월 목표 🖥️ Computer Science: 전공 챙기기 AWS 드디어! 이번에는 강의를 다 들었다. 19,000원으로 이 정도 분량과 지식을 쌓을 수 있다면 엄청난 이득이라 생각한다. 사내 AWS 총 책임(?)이 되어버려서, 모든 AWS 관련 질문이나 요.. 2021. 11. 2. 2021 July ~ August 회사 내 AWS 인프라 환경에 대한 보안 강화 프로젝트에 투입된 이후, 정신없이 바빠졌다. 일주일에 한 번씩은 꼭 12시 넘어서 집에 들어왔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 하고 있던 공부도 거의 놓게 되고, 그 시간에는 회사 일을 위한 공부를 하게 되었다. 어쩌다 보니 휴가 날에 월간 회고를 작성하게 되는 것 같다. 7, 8월 목표 🖥️ Computer Science: 전공 챙기기 Kubernetes in Action 14장부터 18장까지 읽어서 책을 다 읽었다! 사내 스터디에서 했던 앞부분은 진짜 기본적인 내용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오히려 뒷부분을 살펴보니 실무에서 필요한 내용들이 많이 나와서, 읽고 나니 많은 도움이 되었다. 유명한 책이라던데, Kubernetes 를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다면 추천해드리고 싶.. 2021. 9. 6. Chapter 18. Extending Kubernetes 마지막 장이다! 끝! 주요 내용 Kubernetes 에 custom resource/controller/API server 추가하기 Kubernetes Service Catalog OpenShift, Deis Workflow, Helm 18.1 Defining custom API objects 지금까지 책에서 살펴본 Kubernetes object 들은 비교적으로 low-level 한 object 이고 일반적인 개념을 다룬다. 그런데 Kubernetes ecosystem 이 발전하게 되면서 high-level object 를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object 들은 일반적인 개념보다는 특정한 개념을 다루고, 애플리케이션 전체나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나타낸다. Custom controller 를 사용하게 되.. 2021. 9. 4. Chapter 17. Best practices for developing apps 주요 내용 Kubernetes 리소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Pod lifecycle hooks and init containers 17.1 Bringing everything together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이 Kubernetes 위에서 배포될 때 어떤 형태로 하는지, 지금까지 살펴본 것들을 종합하여 알아본다.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는 Deployment 또는 StatefulSet 을 반드시 사용하게 된다. 이들은 pod template 를 들고 있으며, 거기에는 liveness/readiness probe 가 모두 정의되어 있다. Service 를 이용해서 외부에서 pod 로 요청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이 Service 는 LoadBalancer 또는 NodePort 타입이나 Ing.. 2021. 8. 15. Chapter 16. Advanced scheduling 주요 내용 노드의 taint 와 pod tolerations Node affinity rules 사용 Pod affinity, anti-affinity 사용 16.1 Using taints and tolerations to repel pods from certain nodes Pod 가 특정 노드에 schedule 되기 위해서는 그 노드의 taint 를 tolerate 할 수 있어야 한다. 16.1.1 Introducing taints and tolerations Taint 는 key, value, effect 로 이루어져 있고, =: 로 표현된다. kubectl describe node [NODE_NAME] 을 해보면 Taints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ode-role.kubernete.. 2021. 8. 15.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