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Kubernetes

Chapter 10. StatefulSets: deploying replicated stateful applications

by zxcvber 2021. 5. 17.

A stateful pod may be rescheduled to a different node, but it retains the name, hostname, and storage. (출처: https://livebook.manning.com/book/kubernetes-in-action/chapter-10/169)

주요 내용

  • StatefulSet 에 대한 이해
  • Stateful application 배포하기
  • DNS SRV record 를 이용한 peer discovery

10.1 Replicating stateful pods

도입 질문: 각 pod replica 가 하나씩 PV 를 갖게 할 수는 없을까?

ReplicaSet 의 pod template 에서 PVC (PersistentVolumeClaim) 를 사용하게 되면, 모든 replica 가 하나의 PV (PersistentVolume) 을 참조하게 된다.

그래서 하나의 ReplicaSet 으로는 distributed data store 를 만들 수 없다. 지금까지 살펴본 API object 만으로는 조금 복잡하다.

10.1.1 Running multiple replicas with separate storage for each

Pod 의 replica 들을 만들고 싶은데 각각이 자신만의 storage volume 을 갖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Pod 직접 만들어서 띄우기

Kubernetes 의 철학에 어긋난다.

One ReplicaSet per pod instance

각 ReplicaSet 의 replica count 를 1로 설정하고, 각 ReplicaSet 이 PVC 를 사용하도록 하면 여러 개의 pod 가 생성되며 각각이 자신만의 volume 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직접 pod 를 만들어 띄우는 것과 비교하면 automatic scheduling 이 지원되므로 좀 더 낫지만, scaling 을 수동으로 해야한다는 점에서 불편하다.

Multiple directories in the same volume

또 하나의 방법으로는, pod 들이 하나의 PV 를 사용하되, PV 내의 서로 다른 폴더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이렇게 하면 ReplicaSet 이 알아서 pod 를 생성하므로, 각 pod 에게 PV 내의 어떤 폴더를 저장 공간으로 사용하라고 임의로 지정할 수 없다. (물론 앱 내부적으로 폴더를 선택하는 로직을 추가 구현할 수 있긴 하겠지만...)

10.1.2 Providing a stable identity for each pod

저장 공간 뿐만 아니라,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state 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IP 와 hostname 같은 네트워크 정보의 경우 pod 이 rescheduling 되면 바뀌게 된다. 대표적으로 distributed stateful applications 의 경우 이러한 네트워크 정보가 바뀌면 클러스터 내의 정보를 수시로 업데이트 해줘야 하는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Dedicated service for each pod instance

위 문제를 회피하는 방법으로는 service 를 생성하여 IP 를 할당하고 각 pod 가 service endpoints 에 추가되도록 하면 된다.

이 방법도 그리 깔끔하지 않다. 각 pod 들은 자신이 어떤 service 를 통해 expose 되어있는지 알 수 없고 (자신의 stable IP 를 모른다), 다른 pod 들에게 자신의 IP 를 알릴 수 없다.

Kubernetes 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StatefulSet 으로 해결한다.

10.2 Understanding StatefulSets

이런 경우, ReplicaSet 보다는 StatefulSet 을 사용하여 각 pod 들이 stable 한 이름과 상태를 갖도록 한다.

10.2.1 StatefulSets vs ReplicaSets

Pets vs Cattle 비유

우리는 앱 인스턴스를 pet 처럼 대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름을 부여하고, 각 인스턴스를 개별적으로 고려한다. 하지만, 보통 인스턴스를 cattle 로 대하고 개별적인 인스턴스에는 특별히 관심을 주지 않는 것이 나을 때가 많다. 이렇게 하면 문제가 있는 인스턴스를 고민 없이 교체할 수 있다.

상태가 없는 앱의 경우 cattle 과 같다. 인스턴스 하나에 문제가 생겨도, 새로 만들어서 교체해버리면 겉으로는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반면, 상태가 있는 앱의 경우 pet 과 같다. 인스턴스에 문제가 생기면, 마치 pet 이 사라졌다고 티나지 않게 대체가 불가능하듯, 인스턴스도 대체가 불가능하다. 대체하려면 기존의 인스턴스와 정확히 똑같은 상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StatefulSets vs ReplicaSets / ReplicationControllers

그래서 ReplicaSet 이나 ReplicationController 에 의해 관리되는 replica 들은 cattle 에 가깝다. 상태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언제든 교체될 수 있다.

반면 상태를 갖는 (stateful) 앱의 경우 pod 인스턴스 가 죽으면 새로운 인스턴스 를 생성할 때 전의 인스턴스와 동일한 이름, 네트워크 정보와 상태를 가져야 한다. StatefulSet 을 사용하면 이런 일이 가능해진다.

StatefulSet 은 pod 들이 자신의 정보와 상태를 유지하면서 reschedule 될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이뿐만 아니라 ReplicaSet 때처럼 replica count 를 지정할 수 있어 scaling 이 가능하며, pod template 을 지정할 수도 있다.

ReplicaSet 과 다른 점은 StatefulSet 이 생성한 pod 들은 서로의 exact copy 가 아니라는 점이다. 각 pod 마다 자신만의 volume 을 가질 수도 있고, 생성될 때마다 예측하기 쉬운 (그리고 안정적인) 정보를 갖는다.

여기서 예측하기 쉽다는게...?

10.2.2 Providing a stable network identity

StatefulSet 을 이용해서 pod 를 생성하면 zero-based index 를 기반으로 번호가 주어진다. 그 번호를 이용해 pod 의 이름과 hostname 을 가져오고, 각 pod 에 storage 를 붙일 수 있게 된다.

이름에 번호가 주어지기 때문에 이름은 예측하기 쉬우며, 랜덤한 이름이 부여될 때보다 잘 정리되어 있다.

Governing service

상태를 갖는 (stateful) pod 의 경우, 서로 통신할 때 특정 상태를 갖는 특정 pod 에서 작업을 요청하게 되므로 hostname 으로 reference 가 가능해야한다.

그래서 StatefulSet 을 사용하면 StatefulSet 에 대응하는 governing headless service 를 생성하여 각 pod 에 네트워크 정보를 부여할 것이 강제된다. 이렇게 하면 service 를 통해 각 pod 는 DNS entry 를 갖게 되며, 클러스터 내의 다른 리소스에서 hostname 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FQDN 사용)

Replacing lost pets

StatefulSet 으로 관리되는 pod 중 하나가 사라지면, StatefulSet 이 자동으로 reschedule 해준다. 이 때 ReplicaSet 과는 달리, 새로 생긴 pod 는 사라진 pod 와 동일한 이름과 hostname 을 갖도록 생성된다.

Scaling a StatefulSet

Scale up 하는 경우, replica count 에 맞게 index 값이 이름에 부여된다. 반면 scale down 하는 경우 index 가 가장 큰 pod 부터 삭제하므로, 어떤 pod 가 삭제될지 사전에 알 수 있다.

몇몇 stateful 어플리케이션은 빠른 scale down 을 잘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StatefulSet 에서는 한 번에 하나씩만 scale down 할 수 있다.

Distributed data store 의 경우 여러 개의 pod 가 한꺼번에 삭제되면,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다. 하나씩만 scale down 을 지원하게 되면 데이터의 copy 가 추가로 없는 경우 다른 곳에 백업을 해둘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만약 임의의 인스턴스가 정상이 아니면, StatefulSet 의 scale down 은 불가능하다.

Scalue up 할 때도 1개씩 하는 것 같다!

10.2.3 Providing stable dedicated storage to each stateful instance

위에서 pod 의 정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살펴봤는데, 저장공간은 어떻게 하는가? 특히 rescheduling 되는 경우에도 잘 처리해줘야 한다.

당연히 stateful pod 와 연결된 storage 는 persistent 해야 하고 pod 에 종속적이지 않아야한다.

한편 PVC 의 경우 PV 와 일대일로 대응되기 때문에 StatefulSet 의 pod 들은 각각 다른 PVC 를 reference 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StatefulSet 은 이 문제도 해결해준다.

Volume claim template

StatefulSet 이 PVC 도 만들어 주는데, volume claim template 을 사용하면 pod 를 새로 띄울 때 자연스럽게 PVC 를 pod 에 연결해준다.

PVC 의 생성과 삭제 이해

StatefulSet 을 scale up 하는 경우 pod 와 PVC 가 새롭게 생기지만, scale down 하는 경우 pod 만 삭제하고 PVC 는 그대로 둔다. 만약 PVC 를 지워버리면 PV 는 recycle 되거나 삭제되어 내용이 유실된다.

StatefulSet 을 사용하는 경우는 말 그대로 state 가 중요하므로, pod 가 지워졌더라도 PV 안의 데이터는 중요하다. 그래서 PV 를 free 하려면 PVC 를 수동으로 지워줘야 한다.

PVC reattach

또한 scale down 이후 PVC 가 유지되기 때문에, 다시 scale up 하는 경우 같은 PVC 를 새로운 pod 에 연결하여 예전 pod 가 삭제되기 전 PV 의 상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수로 scale down 해도 원상 복구가 가능하다.

10.2.4 Understanding StatefulSet guarantees

StatefulSet 들이 무엇을 보장해주는지 살펴본다.

Implications of stable identity and storage

만약 Kubernetes 가 새로운 pod 를 생성했는데 기존 pod 가 사실 삭제되지 않았다면, 같은 정보를 가진 2개의 pod 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같은 저장소를 사용하므로 각 pod 내의 프로세스가 같은 파일에 write 할 수도 있다.

StatefulSet's at-most-one semantics

따라서 Kubernetes 에서는 같은 정보를 가지고 같은 PVC 에 bind 된 stateful pod 가 동시에 2개 이상 존재하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한다. 즉 StatefulSet 은 stateful pod 가 최대 1개만 존재하도록 보장해야 하며, 이를 at-most-one semantics 라고 한다.

따라서 StatefulSet 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pod 를 생성하기 전에 생성할 pod 의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가진 pod 가 없음을 확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노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처리 방법이 크게 달라진다.

뒤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고, 우선 StatefulSet 을 생성하는 방법부터 살펴본다.

10.3 Using a StatefulSet

10.3.1 Creating the app and container image

실습에 사용할 앱은 POST 요청을 받으면 request body 를 /var/data/kubia.txt 에 저장하고, GET 요청을 받으면 hostname 과 /var/data/kubia.txt 의 내용을 돌려준다.

10.3.2 Deploying the app through a StatefulSet

StatefulSet 을 이용해 앱을 배포하기 위해서는 PV 와 governing service 를 만들어줘야 한다.

PV 생성하기 (Without dynamic provisioning)

실습에서는 replica 를 3개 만들 것이므로 PV 를 3개 만들어야 한다.

kind: List
apiVersion: v1
items:
-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pv-a
  spec:
    capacity:
      storage: 1Mi
    accessModes:
      - ReadWriteOnce
    persistentVolumeReclaimPolicy: Recycle
    hostPath:
      path: /tmp/pv-a
-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pv-b
  spec:
    capacity:
      storage: 1Mi
    accessModes:
      - ReadWriteOnce
    persistentVolumeReclaimPolicy: Recycle
    hostPath:
      path: /tmp/pv-b
-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pv-c
  spec:
    capacity:
      storage: 1Mi
    accessModes:
      - ReadWriteOnce
    persistentVolumeReclaimPolicy: Recycle
    hostPath:
      path: /tmp/pv-c

List 로 만들어서 여러 object 를 한꺼번에 생성할 수 있다.

Governing service

Headless service 도 하나 생성한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kubia
spec:
  clusterIP: None   # headless
  selector:
    app: kubia
  ports:
  - name: http
    port: 80

StatefulSet 생성

apiVersion: apps/v1
kind: StatefulSet
metadata:
  name: kubia
spec:
  serviceName: kubia
  replicas: 2
  selector:
    matchLabels:
      app: kubia        # app=kubia label 이 있어야 선택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kubia
    spec:
      containers:
      - name: kubia
        image: luksa/kubia-pet
        ports:
        - name: http
          containerPort: 8080
        volumeMounts:
        - name: data
          mountPath: /var/data      # volume mount 위치
  volumeClaimTemplates:         # PVC template
  - metadata:
      name: data
    spec:
      resources:
        requests:
          storage: 1Mi
      accessModes:
      - ReadWriteOnce

ReplicaSet, Deployment 와 다른 점은 volumeClaimTemplate 가 있다는 점이다. data 라는 이름의 volume claim template 을 만들어서 pod 이 생길 때마다 PVC 를 하나씩 생성하고 pod 에 연결해준다.

Replica 수를 2로 설정했는데, pod 은 하나씩 생성된다. 이는 race condition 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 kubectl get pod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kubia-0   1/1     Running   0          3m37s
kubia-1   1/1     Running   0          3m29s

Pod 이름 뒤에 zero-based index 가 추가되어있는 것도 확인 가능하다.

$ kubectl get pvc
NAME           STATUS   VOLUME                                     CAPACITY   ACCESS MODES   STORAGECLASS   AGE
data-kubia-0   Bound    pvc-9ea59858-ecc9-4549-ba87-4db46e8f1f79   1Mi        RWO            standard       98s
data-kubia-1   Bound    pvc-7a58e057-beb9-40a8-adc2-8c46043fbce2   1Mi        RWO            standard       92s

또 PVC 가 생성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분명 앞에서 PV 생성해 뒀는데 그걸 안 쓰고 minikube 가 알아서 PV 를 새로 만들어서 사용해 버린다.

10.3.3 Playing with your pods

Pod 에 접속을 해보자. 단 service 가 headless 하므로 각 pod 에 직접 접속해야한다.

보통은 pod 안에 들어가서 curl 을 때려보거나 포트 포워딩을 하겠지만 이번에는 API server 를 사용하여 pod 로 proxy 해본다.

Communicating with pods through the API server

다음 URL 로 보내면 특정 pod 로 요청을 보낼 수 있게 된다.

<apiServerHost>:<port>/api/v1/namespaces/default/pods/<pod-name>/proxy/<path>

한편 API server 에 요청을 보내는 것은 인증 절차 등이 필요해 복잡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kubectl proxy 를 이용해서 요청을 보낸다. 이제 아래와 같이 하면 kubia-0 pod 에 요청을 보낼 수 있다.

$ curl localhost:8001/api/v1/namespaces/default/pods/kubia-0/proxy/
You've hit kubia-0
Data stored on this pod: No data posted yet

이제 POST 요청을 보내본다.

$ curl -X POST localhost:8001/api/v1/namespaces/default/pods/kubia-0/proxy/ \
    -d "This is a request for kubia-0 pod." 
Data stored on pod kubia-0

다시 GET 요청을 보내보면 응답이 정상적으로 온다.

$ curl localhost:8001/api/v1/namespaces/default/pods/kubia-0/proxy/
You've hit kubia-0
Data stored on this pod: This is a request for kubia-0 pod.

한편, kubia-1 pod 에는 아무것도 저장되어 있지 않다.

$ curl localhost:8001/api/v1/namespaces/default/pods/kubia-1/proxy/
You've hit kubia-1
Data stored on this pod: No data posted yet

확실히 각 pod 가 state 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Deleting a stateful pod

이제 pod 를 한 번 지워보고 rescheduling 될 때 같은 storage 에 연결되는지 확인할 것이다.

먼저 kubectl delete pod kubia-0 를 입력한 뒤 pod 가 삭제될 때까지 대기한다. 조금 기다리면 StatefulSet 이 새로 pod 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od 삭제 명령을 입력했는데 엄청 오래걸리는 것은 기분 탓인가, 아니면 stateful pod 라서 오래걸리는 건가... 1분 20초 정도 걸렸다.

같은 storage 에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GET 요청을 보내본다.

$ curl localhost:8001/api/v1/namespaces/default/pods/kubia-0/proxy/
You've hit kubia-0
Data stored on this pod: This is a request for kubia-0 pod.

이전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Exposing stateful pods through a non-headless service

Service 를 만들어서 expose 해본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kubia-public
spec:
  selector:
    app: kubia
  ports:
  - port: 80
    targetPort: 8080

이 service 는 ClientIP service 이므로 클러스터 안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API server 를 proxy 로 이용해 접속할 수 있다.

$ curl localhost:8001/api/v1/namespaces/default/services/kubia-public/proxy/
You've hit kubia-3
Data stored on this pod: No data posted yet

다만 random 한 pod 에서 응답을 보내준다.

10.4 Discovering peers in a StatefulSet

마지막으로 살펴볼 내용은 peer discovery 이다. StatefulSet 의 pod 이 다른 pod 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API server 를 사용할수도 있겠지만, 어플리케이션이 직접 요청을 보내게 되기 때문에 Kubernetes 에 종속되게 된다. 다른 방법이 필요하며, 여기서는 SRV record 를 사용할 것이다.

SRV records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hostname 과 port 를 알려주기 위한 record 이다.

실행한 pod 들의 SRV record 를 확인하기 위해 dig 를 사용할 것이다.

$ kubectl run -it srvlookup --image=tutum/dnsutils --rm \
    --restart=Never -- dig SRV kubia.default.svc.cluster.local

조금 기다리면 다음과 같이 결과가 나온다.

;; ANSWER SECTION:
kubia.default.svc.cluster.local. 30 IN    SRV    0 25 80 kubia-0.kubia.default.svc.cluster.local.
kubia.default.svc.cluster.local. 30 IN    SRV    0 25 80 kubia-1.kubia.default.svc.cluster.local.

;; ADDITIONAL SECTION:
kubia-0.kubia.default.svc.cluster.local. 30 IN A 172.17.0.3
kubia-2.kubia.default.svc.cluster.local. 30 IN A 172.17.0.6

ANSWER SECTION 을 보면 service 뒤에 있는 2개의 pod 에 대한 record 가 나온다. 각 pod 는 A record 도 가지고 있으며, ADDITIONAL SECTION 에 적혀있다.

그러므로 pod 가 StatefulSet 내의 다른 pod 정보를 얻고 싶다면, SRV DNS lookup 한 번을 해주면 된다.

참고로 결과에 있는 SRV record 의 순서는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10.4.1 Implementing peer discovery through DNS

이제 pod 들이 서로 통신하도록 하려고 한다.

이제 client 는 kubia-public service 를 이용해서 요청을 보낼 것인데, 그러면 요청이 임의의 pod 로 전달될 수 있다. 클러스터에 pod 가 여러 개 있으므로 데이터를 여러 개 저장할 수 있으나, 요청이 모든 pod 에 한 번씩 도달할 때까지 요청을 계속 반복해야 한다.

따라서 pod 가 요청을 받으면 다른 pod 로부터 정보를 모두 받아 데이터를 돌려주도록 할 것이다. 이를 위해 SRV DNS lookup 을 하고, 각 record 에 요청을 보내 데이터를 받아온 다음 돌려주면 된다.

(구현체는 생략)

10.4.2 Updating a StatefulSet

kubectl edit statefulset <NAME> 을 이용하면 된다. 실습을 위해 replica count 는 3으로, container 도 새롭게 구현한 container 로 교체해줄 것이다.

수정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rollout 이 진행된다.

$ kubectl rollout status statefulset kubia
Waiting for 1 pods to be ready...
Waiting for partitioned roll out to finish: 2 out of 3 new pods have been updated...
Waiting for 1 pods to be ready...
partitioned roll out complete: 3 new pods have been updated...

10.4.3 Trying out your clustered data store

이제 테스트를 해본다. 먼저 데이터를 POST 한다. 요청은 service 로 보내야 한다.

$ curl -X POST localhost:8001/api/v1/namespaces/default/services/kubia-public/proxy/ \
    -d "Good morning"                   
Data stored on pod kubia-1

$ curl -X POST localhost:8001/api/v1/namespaces/default/services/kubia-public/proxy/ \
    -d "Good afternoon" 
Data stored on pod kubia-0

$ curl -X POST localhost:8001/api/v1/namespaces/default/services/kubia-public/proxy/ \
    -d "Some random data" 
Data stored on pod kubia-2

이제 데이터를 읽어온다.

$ curl localhost:8001/api/v1/namespaces/default/services/kubia-public/proxy/          
You've hit kubia-2
Data stored in the cluster:
- kubia-2.kubia.default.svc.cluster.local: Some random data
- kubia-0.kubia.default.svc.cluster.local: Good afternoon
- kubia-1.kubia.default.svc.cluster.local: Good evening

Pod 가 직접 peer discovery 를 진행하므로 scaling 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10.5 Understanding how StatefulSets deal with node failures

10.2.4 에서 at-most-one semantics 를 설명하면서 StatefulSet 은 같은 상태를 가진 pod 를 2개 만들어서는 안된다고 했었다. 한편 노드가 작동을 중단하는 경우 Kubernetes 는 그 노드에 있던 리소스의 정보를 알 수 없게 된다. Pod 가 실제로 작동을 중지한 것인지, 아니면 접근이 가능한데 그냥 Kubelet 이 노드의 상태를 master 에 보고하는 것을 중단했을 수도 있다.

그래서 StatefulSet 은 클러스터 관리자가 알려주기 전까지는 대체 pod 를 생성하지 않게된다. 클러스터 관리자는 pod 를 완전히 삭제하거나, 노드를 삭제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한 노드의 네트워크가 유실되는 상황에서 StatefulSet 의 동작을 살펴볼 것이다.

10.5.1 Simulating a node's disconnection from the network

minikube 에서는 안된다! GKE 의 이야기이다.

노드에 ssh 로 접속해서 sudo ifconfig eth0 down 을 입력하면 네트워크를 죽일 수 있다!

이제 노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꺼졌기 때문에 노드의 Kubelet 은 Kubernetes API server 와 연결할 수 없다. Pod 들이 잘 동작하고 있다고 보고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조금 기다린 뒤 kubectl get nodes 를 해보면 노드가 NotReady 상태로 변경된다. 그래서 kubectl get pod 를 하면 STATUSUnknown 으로 변경된다.

Status 가 Unknown 이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만약 노드의 네트워크가 금방 다시 연결되면 pod 상태를 다시 보고할 것이므로 Ready 상태가 된다. 반면 오랜 시간동안 (이 시간은 설정 가능하다) Unknown 상태이면 Kubernetes control plane 에서 pod 를 자동으로 삭제한다.

Kubelet 이 pod 이 삭제 명령을 받으면 삭제를 시작하여 Terminating 으로 변경되는데, 지금 상황에서는 네트워크가 유실되었으므로 Kubelet 이 pod 삭제 명령을 알 수 없다. 그래서 pod 는 게속 실행 중이게 된다.

kubectl describe pod <NAME> 으로 유실된 노드의 pod 를 살펴보면 Terminating 으로 변경되어있고, Reason: NodeLost 라고 적혀있다. 단, 이는 어디까지나 control plane 의 관점이며, 실제로 노드 안에서 pod 는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다.

10.5.2 Deleting the pod manually

Rescheduling 을 하려면 수동으로 삭제해줘야 한다. 한편 kubectl delete pod 명령으로는 삭제가 불가능하다. 네트워크가 유실되었기 때문에 이 명령이 전달되지 않는다. 강제 삭제해야한다.

이 명령은 노드가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 다는 것을 확신할 때만 입력해야 한다.

$ kubectl delete pod <NAME> --force --grace-period 0

이렇게 --force, --grace-period 0 옵션을 모두 줘서 삭제해야 한다. 원래는 Kubelet 이 컨테이너가 모두 중단되었고, 삭제가 완료되었다고 알려줘야 하지만 이 옵션을 주게 되면 기다리지 않고 즉시 삭제한 것으로 처리한다.


Discussion & Additional Topics

Pets vs Cattle Analog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