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thematics/Measure Theory

02. Construction of Measure

by zxcvber 2023. 1. 23.

Construction of Measure

이제 본격적으로 집합을 재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잴 수 있는 집합들부터 시작합니다. \(\mathbb{R}^p\)에서 논의할 건데, 이제 여기서부터는 \(\mathbb{R}\)의 구간의 열림/닫힘을 모두 포괄하여 정의합니다. 즉, \(\mathbb{R}\)의 구간이라고 하면 \([a, b], (a, b), [a, b), (a, b]\) 네 가지 경우를 모두 포함합니다.

정의. (\(\mathbb{R}^p\)의 구간) \(a_i, b_i \in \mathbb{R}\), \(a_i \leq b_i\) 라 하자. \(I_i\)가 \(\mathbb{R}\)의 구간이라고 할 때, \(\mathbb{R}^p\)의 구간은 \[\prod_{i=1}^p I_i = I_1 \times \cdots \times I_p,\] 와 같이 정의한다.

예를 들어 \(\mathbb{R}^2\)의 구간이라 하면 직사각형 영역, \(\mathbb{R}^3\)의 구간이라 하면 직육면체 영역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단, 경계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구간들을 유한개 모아 합집합하여 얻은 집합을 모아 elementary set이라 합니다.

정의. (Elementary Set) 어떤 집합이 유한개 구간의 합집합으로 표현되면 그 집합을 elementary set이라고 한다. 그리고 \(\mathbb{R}^p\)의 elementary set의 모임을 \(\Sigma\)로 표기한다.

임의의 구간은 유계입니다. 따라서 구간의 유한한 합집합도 유계일 것입니다.

참고. 임의의 elementary set은 유계이다.

Elementary set의 모임에서 집합의 연산을 정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때, \(\Sigma\)가 ring이 된다는 것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제. \(\Sigma\)는 ring이다. 하지만 전체 공간인 \(\mathbb{R}^p\)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sigma\)-ring은 아니다.

구간의 길이를 재는 방법은 아주 잘 알고 있습니다. 유한개 구간의 합집합인 elementary set에서도 쉽게 잴 수 있습니다. 이제 길이 함수 \(m: \Sigma \rightarrow[0, \infty)\) 을 정의하겠습니다. 아직 measure는 아닙니다.

정의. \(a_i, b_i \in \mathbb{R}\) 가 구간 \(I_i\)의 양 끝점이라 하자. \(\mathbb{R}^p\)의 구간 \(I = \displaystyle\prod_{i=1}^p I_i\) 에 대하여, \[m(I) = \prod_{i=1}^p (b_i - a_i)\] 로 정의한다.

정의. \(I_i\)가 쌍마다 서로소인 \(\mathbb{R}^p\)의 구간이라 하자. \(A = \displaystyle\bigcup_{i=1}^n I_i\) 에 대하여 \[m(A) = \sum_{i=1}^n m(I_i)\] 로 정의한다.

\(\mathbb{R}, \mathbb{R}^2, \mathbb{R}^3\)에서 생각해보면 \(m\)은 곧 길이, 넓이, 부피와 대응되는 함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쌍마다 서로소인 구간의 합집합에 대해서는 각 구간의 함숫값을 더한 것으로 정의합니다. 어떤 집합을 겹치지 않게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면, 집합의 ‘길이’가 각 구간의 ‘길이’ 합이 되는 것은 자연스럽습니다.

그리고 이 정의는 well-defined 입니다. \(A \in \Sigma\) 에 대해서 서로소인 유한개 구간의 합집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유일하지 않아도, \(m\) 값은 같습니다.

참고. \(m\)은 \(\Sigma\) 위에서 additive이다. 따라서 \(m : \Sigma \rightarrow[0, \infty)\) 은 additive set function이다.

여기서 추가로 regularity 조건을 만족했으면 좋겠습니다.

정의. (Regularity) Set function \(\mu: \Sigma \rightarrow[0, \infty]\) 가 additive라 하자. 모든 \(A \in \Sigma\) 와 \(\epsilon > 0\) 에 대하여

닫힌집합 \(F \in \Sigma\), 열린집합 \(G \in \Sigma\) 가 존재하여 \(F \subseteq A \subseteq G\) 이고 \(\mu(G) - \epsilon \leq \mu(A) \leq \mu(F) + \epsilon\)

이면 \(\mu\)가 \(\Sigma\) 위에서 regular하다고 정의한다.

위에서 정의한 \(m\)이 regular한 것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set function \(\mu: \Sigma \rightarrow[0, \infty)\) 가 finite, regular, additive 하다고 가정합니다.

정의. (Outer Measure) \(E \in \mathcal{P}(\mathbb{R}^p)\) 의 outer measure \(\mu^\ast: \mathcal{P}(\mathbb{R}^p) \rightarrow[0, \infty]\) 는

\(\mu^\ast(E) = \displaystyle \inf \left\{\sum_{n=1}^\infty \mu(A_n) :\right.\) 열린집합 \(A_n \in \Sigma\) 에 대하여 \(\displaystyle\left.E \subseteq\bigcup_{n=1}^\infty A_n\right\}\)

로 정의한다.

Outer measure라 부르는 이유는 \(E\)의 바깥에서 길이를 재서 근사하기 때문입니다. Outer measure는 모든 power set에 대해서 정의할 수 있으니, 이를 이용해서 모든 집합을 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measure가 되려면 countably additive 해야하는데, 이 조건이 가장 만족하기 까다로운 조건입니다. 실제로 countably additive 조건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참고.

  • \(\mu^\ast \geq 0\) 이다.
  • \(E_1 \subseteq E_2\) 이면 \(\mu^\ast(E_1) \leq \mu^\ast(E_2)\) 이다. (단조성)

정리.

  1. \(A \in \Sigma\) 이면 \(\mu^\ast(A) = \mu(A)\).1
  2. Countable subadditivity가 성립한다. \[\mu^\ast\left( \bigcup_{n=1}^\infty E_n \right) \leq \sum_{n=1}^\infty \mu^\ast(E_n), \quad (\forall E_n \in \mathcal{P}(\mathbb{R}^p))\]

증명.
(1) \(A \in \Sigma\), \(\epsilon > 0\) 라 두자. \(\mu\)의 regularity를 이용하면, 열린집합 \(G \in \Sigma\) 가 존재하여 \(A \subseteq G\) 이고 \[\mu^\ast(A) \leq \mu(G) \leq \mu(A) + \epsilon\] 이다. \(\mu^\ast\)의 정의에 의해 열린집합 \(A_n \in \Sigma\) 가 존재하여 \(A \subseteq\displaystyle\bigcup_{n=1}^\infty A_n\) 이고 \[\sum_{n=1}^\infty \mu(A_n) \leq \mu^\ast(A) + \epsilon\] 이다. 마찬가지로 regularity에 의해 닫힌집합 \(F \in \Sigma\) 가 존재하여 \(F\subseteq A\) 이고 \(\mu(A) \leq \mu(F) + \epsilon\) 이다. \(F \subseteq\mathbb{R}^p\) 는 유계이고 닫힌집합이므로 compact set이고, finite open cover를 택할 수 있다.

적당한 \(N \in \mathbb{N}\) 에 대하여 \(F \subseteq\displaystyle\bigcup_{i=1}^N A_{i}\) 가 성립한다.

따라서 \[\mu(A) \leq \mu(F) + \epsilon \leq \sum_{i=1}^N \mu(A_i) \leq \sum_{i=1}^n \mu(A_i) + \epsilon \leq \mu^\ast(A) + 2\epsilon\] 이제 \(\epsilon \rightarrow 0\) 로 두면 \(\mu(A) = \mu^\ast(A)\) 를 얻는다.

(2) 부등식의 양변이 모두 \(\infty\) 이면 증명할 것이 없으므로, 양변이 모두 유한하다고 가정하여 모든 \(n\in \mathbb{N}\) 에 대해 \(\mu^\ast(E_n) < \infty\) 라 하자. \(\epsilon > 0\) 로 두고, 각 \(n \in \mathbb{N}\) 에 대하여 열린집합 \(A_{n, k} \in \Sigma\) 가 존재하여

\(E_n \subseteq\displaystyle\bigcup_{k=1}^\infty A_{n, k}\) 이고 \(\displaystyle\sum_{k=1}^\infty \mu(A_{n,k}) \leq \mu^\ast(E_n) + 2^{-n}\epsilon\)

이다.

\(\mu^\ast\)는 하한(infimum)으로 정의되었기 때문에, \[\mu^\ast\left( \bigcup_{n=1}^\infty E_n \right) \leq \sum_{n=1}^\infty \sum_{k=1}^\infty \mu(A_{n,k}) \leq \sum_{n=1}^\infty \mu^\ast(E_n) + \epsilon\] 가 성립하고, \(\epsilon \rightarrow 0\) 로 두면 부등식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Countably additive 조건이 성립하는 집합들만 모아서 measure를 construct 하려고 합니다. 아래 내용은 이를 위한 사전 준비 작업입니다.

표기법. (대칭차집합) \(A \mathop{\mathrm{\triangle}}B = (A\setminus B) \cup (B \setminus A)\).

정의.

  • \(d(A, B) = \mu^\ast(A \mathop{\mathrm{\triangle}}B)\) 로 정의한다.
  • 집합열 \(A_n\)에 대하여 \(d(A_n, A) \rightarrow 0\) 이면 \(A_n \rightarrow A\) 로 정의한다.

참고.

  • \(A, B, C \in \mathbb{R}^p\) 에 대하여 \(d(A, B) \leq d(A, C) + d(C, B)\) 이다.
  • \(A_1, B_2, B_1, B_2 \in \mathbb{R}^p\)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left.\begin{array}{c}d(A_1 \cup A_2, B_1 \cup B_2) \\d(A_1 \cap A_2, B_1 \cap B_2) \\d(A_1 \setminus A_2, B_1 \setminus B_2)\end{array}\right\} \leq d(A_1, B_1) + d(A_2, B_2). \]

정의. (Finitely \(\mu\)-measurable) 집합 \(A_n \in \Sigma\) 이 존재하여 \(A_n \rightarrow A\) 이면 \(A\)가 finitely \(\mu\)-measurable이라 한다. 그리고 finitely \(\mu\)-measurable한 집합의 모임을 \(\mathfrak{M}_F(\mu)\)로 표기한다.

위 정의는 \(\mu\)라는 set function에 의해 \(\mu^\ast (A_n \mathop{\mathrm{\triangle}}A) \rightarrow 0\) 이 되는 elementary set \(A_n\)이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정의. (\(\mu\)-measurable) \(A_n \in \mathfrak{M}_F(\mu)\) 에 대하여 \(A = \displaystyle\bigcup_{n=1}^\infty A_n\) 이면 \(A\)가 \(\mu\)-measurable이라 한다. 그리고 \(\mu\)-measurable한 집합의 모임을 \(\mathfrak{M}(\mu)\)로 표기한다.

참고. \(\mu^\ast(A) = d(A, \varnothing) \leq d(A, B) + \mu^\ast(B)\).

명제. \(\mu^\ast(A)\) 또는 \(\mu^\ast(B)\)가 유한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left| \mu^\ast(A) - \mu^\ast(B) \right| \leq d(A, B).\]

따름정리. \(A \in \mathfrak{M}_F(\mu)\) 이면 \(\mu^\ast(A) < \infty\) 이다.

증명. \(A_n \in \Sigma\) 가 존재하여 \(A_n \rightarrow A\) 이고, \(N \in \mathbb{N}\) 이 존재하여 \[\mu^\ast(A) \leq d(A_N, A) + \mu^\ast(A_N) \leq 1 + \mu^\ast(A_N) < \infty\] 이다.

따름정리. \(A_n \rightarrow A\) 이고 \(A_n, A \in \mathfrak{M}_F(\mu)\) 이면 \(\mu^\ast(A_n)\rightarrow\mu^\ast(A) < \infty\) 이다.

증명. \(\mu^\ast(A)\), \(\mu^\ast(A_n)\)가 유한하므로, \(n \rightarrow\infty\) 일 때 \(\left| \mu^\ast(A_n) - \mu^\ast(A) \right| \leq d(A_n, A) \rightarrow 0\) 이다.


준비가 끝났으니 measure를 construct 해보겠습니다! \(\mathcal{P}(\mathbb{R}^p)\)에서는 할 수 없지만 정의역을 \(\mathfrak{M}(\mu)\)로 조금 좁히면 measure가 된다는 뜻입니다.

정리. \(\mathfrak{M}(\mu)\)는 \(\sigma\)-algebra 이고 \(\mu^\ast\)는 \(\mathfrak{M}(\mu)\)의 measure가 된다.

증명. \(\mathfrak{M}(\mu)\)가 \(\sigma\)-algebra이고 \(\mu^\ast\)가 \(\mathfrak{M}(\mu)\)에서 countably additive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Step 0) \(\mathfrak{M}_F(\mu)\)는 ring이다.

\(A, B \in \mathfrak{M}_F(\mu)\) 라 하자. 그러면 \(A_n, B_n \in \Sigma\) 이 존재하여 \(A_n \rightarrow A\), \(B_n \rightarrow B\) 이 된다. 그러면 \[ \left.\begin{array}{c}d(A_n \cup B_n, A \cup B) \\ d(A_n \cap B_n, A \cap B) \\ d(A_n \setminus B_n, A \setminus B)\end{array}\right\} \leq d(A_n, A) + d(B_n, B) \rightarrow 0 \] 이므로 \(A_n \cup B_n \rightarrow A \cup B, A_n \setminus B_n \rightarrow A\setminus B\) 이기 때문에 \(\mathfrak{M}_F(\mu)\)는 ring이다.

(Step 1) \(\mu^\ast\)는 \(\mathfrak{M}_F(\mu)\) 위에서 additive이다.

\(\Sigma\) 위에서는 \(\mu = \mu^\ast\) 이므로, 위 따름정리에 의해 \[\begin{matrix} \mu(A_n) \rightarrow\mu^\ast(A), & \mu(A_n\cup B_n) \rightarrow\mu^\ast(A\cup B), \\ \mu(B_n) \rightarrow\mu^\ast(B), & \mu(A_n\cap B_n) \rightarrow\mu^\ast(A\cap B) \end{matrix}\]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mu(A_n) + \mu(B_n) = \mu(A_n \cup B_n) + \mu(A_n \cap B_n)\) 이므로 여기서 \(n \rightarrow\infty\) 로 두면 \[\mu^\ast(A) + \mu^\ast(B) = \mu^\ast(A\cup B) + \mu^\ast(A \cap B)\] 를 얻는다. \(A \cap B = \varnothing\) 라는 조건이 추가되면 \(\mu^\ast\)가 additive임을 알 수 있다.

(Step 2) \(\mathfrak{M}_F(\mu) = \{A \in \mathfrak{M}(\mu) : \mu^\ast(A) < \infty\}\).2

Claim. 쌍마다 서로소인 \(\mathfrak{M}_F(\mu)\)의 원소들을 잡아 이들의 합집합으로 \(A \in \mathfrak{M}(\mu)\) 를 표현할 수 있다.

증명. \(A_n' \in \mathfrak{M}_F(\mu)\) 에 대하여 \(A = \bigcup A_n'\) 로 두자.

\(A_1 = A_1'\), \(n \geq 2\) 이면 \(A_n = A_n' \setminus(A_1'\cup \cdots \cup A_{n-1}')\)

와 같이 정의하면 \(A_n\)이 쌍마다 서로소이고 \(A_n \in \mathfrak{M}_F(\mu)\) 임을 알 수 있다.

위 사실을 이용하여 \(A_n \in \mathfrak{M}_F(\mu)\) 에 대하여 \(A = \displaystyle\bigcup_{n=1}^\infty A_n\) 로 두자.

  1. Countable subadditivity에 의해 \(\displaystyle\mu^\ast(A) \leq \sum_{n=1}^{\infty} \mu^\ast (A_n)\) 가 성립한다.
  2. Step 1에 의해 \(\displaystyle\bigcup_{n=1}^k A_n \subseteq A\), \(\displaystyle\sum_{n=1}^{k} \mu^\ast(A_n) \leq \mu^\ast(A)\) 이다. \(k \rightarrow\infty\) 로 두면 \(\displaystyle\mu^\ast(A) \geq \sum_{n=1}^\infty \mu^\ast(A_n)\)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displaystyle\mu^\ast(A) = \sum_{n=1}^\infty \mu^\ast(A_n)\) 이다.3 4

이제 \(B_n =\displaystyle\bigcup_{k=1}^n A_k\) 로 두자. \(\mu^\ast(A) < \infty\) 를 가정하면 \(\displaystyle\sum_{n=1}^\infty \mu^\ast(A_n)\)의 수렴성에 의해

\(\displaystyle d(A, B_n) = \mu^\ast\left( \bigcup_{k=n+1}^\infty A_k \right) = \sum_{k=n+1}^{\infty} \mu^\ast(A_i) \rightarrow 0\) as \(n \rightarrow\infty\)

임을 알 수 있다.

\(B_n \in \mathfrak{M}_F(\mu)\) 이므로 \(C_n \in \Sigma\) 를 잡아 각 \(n \in \mathbb{N}\) 에 대하여 \(d(B_n, C_n)\)를 임의로 작게 만들 수 있다. 그러면 \(d(A, C_n) \leq d(A, B_n) + d(B_n, C_n)\) 이므로 충분히 큰 \(n\)에 대하여 \(d(A, C_n)\)도 임의로 작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C_n \rightarrow A\) 임을 알 수 있고 \(A \in \mathfrak{M}_F(\mu)\) 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Step 3) \(\mu^\ast\)는 \(\mathfrak{M}(\mu)\) 위에서 countably additive이다.

\(A_n \in \mathfrak{M}(\mu)\) 가 \(A \in \mathfrak{M}(\mu)\) 의 분할이라 하자. 적당한 \(m \in \mathbb{N}\) 에 대하여 \(\mu^\ast(A_m) = \infty\) 이면 \[\mu^\ast\left( \bigcup_{n=1}^\infty A_n \right) \geq \mu^\ast(A_m) = \infty = \sum_{n=1}^\infty \mu^\ast(A_n)\] 이므로 countable additivity가 성립한다.

이제 모든 \(n\in \mathbb{N}\) 에 대하여 \(\mu^\ast(A_n) < \infty\) 이면, Step 2에 의해 \(A_n \in \mathfrak{M}_F(\mu)\) 이고 \[\mu^\ast(A) = \mu^\ast\left( \bigcup_{n=1}^\infty A_n \right) = \sum_{n=1}^\infty \mu^\ast(A_n)\] 가 성립한다.

(Step 4) \(\mathfrak{M}(\mu)\)는 \(\sigma\)-ring이다.

\(A_n \in \mathfrak{M}(\mu)\) 이면 \(B_{n, k} \in \mathfrak{M}_F(\mu)\) 가 존재하여 \(\displaystyle A_n = \bigcup_k B_{n,k}\) 이다. 그러면 \[\bigcup_n A_n = \bigcup_{n, k} B_{n, k} \in \mathfrak{M}(\mu)\] 이다.

\(A, B \in \mathfrak{M}(\mu)\) 라 하면 \(A_n, B_n \in \mathfrak{M}_F(\mu)\) 에 대해 \(\displaystyle A = \bigcup A_n\), \(\displaystyle B = \bigcup B_n\) 이므로, \[A \setminus B = \bigcup_{n=1}^\infty \left( A_n \setminus B \right) = \bigcup_{n=1}^\infty (A_n\setminus(A_n\cap B))\] 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A_n \cap B \in \mathfrak{M}_F(\mu)\) 인 것만 보이면 충분하다. 정의에 의해 \[A_n \cap B = \bigcup_{k=1}^\infty (A_n \cap B_k) \in \mathfrak{M}(\mu)\] 이고 \(\mu^\ast(A_n \cap B) \leq \mu^\ast(A_n) < \infty\) 이므로 \(A_n\cap B \in \mathfrak{M}_F(\mu)\) 이다. 따라서 \(A \setminus B\) 가 \(\mathfrak{M}_F(\mu)\)의 원소들의 countable 합집합으로 표현되므로 \(A\setminus B \in \mathfrak{M}(\mu)\) 이다.

따라서 \(\mathfrak{M}(\mu)\)는 \(\sigma\)-ring이고 \(\sigma\)-algebra이다.


이제 \(\Sigma\) 위의 \(\mu\) 정의를 \(\mathfrak{M}(\mu)\) (\(\sigma\)-algebra)로 확장하여 \(\mathfrak{M}(\mu)\) 위에서는 \(\mu = \mu^\ast\) 로 정의합니다. \(\Sigma\) 위에서 \(\mu = m\) 일 때, 이와 같이 확장한 \(\mathfrak{M}(m)\) 위의 \(m\)을 Lebesgue measure on \(\mathbb{R}^p\)라 합니다. 그리고 \(A \in \mathfrak{M}(m)\) 를 Lebesgue measurable set이라 합니다.


  1. \(A\)가 open이 아니면 자명하지 않은 명제입니다.↩︎
  2. \(A\)가 \(\mu\)-measurable인데 \(\mu^\ast(A) < \infty\)이면 \(A\)는 finitely \(\mu\)-measurable이다.↩︎
  3. \(A\)가 countable union of sets in \(\mathfrak{M}_F(\mu)\)이므로 \(\mu^\ast\)도 각 set의 \(\mu^\ast\)의 합이 된다.↩︎
  4. 아직 증명이 끝나지 않았습니다. \(A_n\)은 \(\mathfrak{M}(\mu)\)의 원소가 아니라 \(\mathfrak{M}_F(\mu)\)의 원소입니다.↩︎

'Mathematics > Measure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0) 2023.04.07
06. Convergence Theorems  (0) 2023.03.25
05. Lebesgue Integration  (0) 2023.02.13
04. Measurable Functions  (0) 2023.02.06
03. Remarks, Measure Spaces  (0) 2023.01.24
01. Algebra of Sets  (0) 2023.01.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