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thematics/Measure Theory

06. Convergence Theorems

by zxcvber 2023. 3. 25.

Convergence Theorems

르벡 적분 이론에서 굉장히 자주 사용되는 수렴 정리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이 정리들을 사용하면 굉장히 유용한 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먼저 단조 수렴 정리(monotone convergence theorem, MCT)입니다. 이 정리에서는 \(f_n \geq 0\) 인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리. (단조 수렴 정리) \(f_n: X \rightarrow[0, \infty]\) 가 measurable이고 모든 \(x \in X\) 에 대하여 \(f_n(x) \leq f_{n+1}(x)\) 라 하자. \[\lim_{n\rightarrow\infty} f_n(x) = \sup_{n} f_n(x) = f(x)\] 로 두면, \[\int f \,d{\mu} = \lim_{n\rightarrow\infty} \int f_n \,d{\mu} = \sup_{n \in \mathbb{N}} \int f_n \,d{\mu}\] 이다.

증명.
(\(\geq\)) \(f_n(x) \leq f(x)\) 이므로 단조성을 이용하면 모든 \(n \in \mathbb{N}\) 에 대하여 \(\displaystyle\int f_n \,d{\mu} \leq \displaystyle\int f \,d{\mu}\)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sup_n \int f_n \,d{\mu} \leq \int f \,d{\mu}.\]

(\(\leq\)) 실수 \(c \in (0, 1)\) 를 잡자. 마지막에 \(c \nearrow 1\) 로 둘 것이다. 이제 measurable simple function \(s\)가 \(0 \leq s \leq f\) 라 하자. 그러면 모든 \(x \in X\) 에 대하여 \(c \cdot s(x) < f(x)\) 일 것이다.

이제 \[E_n = \{x \in X : f_n(x) \geq cs(x)\}\] 으로 두면, \(f_n(x) - cs(x)\) 가 measurable function이므로 \(E_n\) 또한 measurable이다. 여기서 \(f_n\)이 증가하므로 \(E_n\subseteq E_{n+1} \subseteq\cdots\) 임을 알 수 있고 \(f_n \rightarrow f\) 이므로 \(\bigcup_{n=1}^\infty E_n = X\) 이다.

충분히 큰 \(N \in \mathbb{N}\) 에 대하여 \(n \geq N\) 일 때, 모든 \(x\)에 대하여 \(f(x) \geq f_n(x) > cs(x)\) 가 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f_n \geq f_n \chi_{E_n} \geq cs \chi_{E_n}\) 이므로 \[\tag{\(\star\)} \int f_n \,d{\mu} \geq \int f_n \chi_{E_n} \,d{\mu} \geq c\int s \chi_{E_n} \,d{\mu},\] 이고 여기서 \(s, \chi_{E_n}\)는 simple function이다. 그러므로 \(s = \sum_{k=0}^m y_k \chi_{A_k}\) 라고 적으면 \[s\chi_{E_n} = \sum_{k=0}^m y_k \chi_{A_k\cap E_n} \implies \int s \chi_{E_n} \,d{\mu} = \sum_{k=0}^m y_k \mu(A_k\cap E_n)\] 이다. \(n\rightarrow\infty\) 일 때 \(A_k\cap E_n \nearrow A_k\) 이므로, continuity of measure를 사용해 \(\mu(A_k \cap E_n) \nearrow \mu(A_k)\) 를 얻고 \[\lim_{n\rightarrow\infty} \int s \chi_{E_n}\,d{\mu} = \int s \,d{\mu}\] 임도 알 수 있다. 이제 (\(\star\))를 이용하면 \[\lim_{n\rightarrow\infty} \int f_n \,d{\mu} \geq c\int s \,d{\mu}\] 이므로, \(c \nearrow 1\) 로 두고 \(0\leq s\leq f\) 에 대하여 \(\sup\)을 취하면 \[\lim_{n\rightarrow\infty} \int f_n \,d{\mu} \geq \sup_{0\leq s\leq f} \int s \,d{\mu} = \int f \,d{\mu}\] 가 되어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참고. 만약 부등식 \(0 \leq f_n \leq f_{n+1}\) 이 정의역 전체가 아닌 정의역의 부분집합 \(E\)에서만 성립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0 \leq f_n \chi_E \leq f_{n+1} \chi_E \nearrow f \chi_E.\] 그러므로 단조 수렴 정리가 \(E\)에서도 성립함을 알 수 있다.

\(E\)에서 \(0\leq f_n \leq f_{n+1} \nearrow f\) 이면 \(\displaystyle\lim_{n\rightarrow\infty} \int_E f_n \,d{\mu} = \int_E f \,d{\mu}\).

참고. 함수열 \(f_n\)이 증가하는 경우에만 정리가 성립합니다. 감소하는 경우에는 반례로 함수 \(f_n = \chi_{[n, \infty)}\) 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n \rightarrow\infty\) 일 때 \(\chi_{[n, \infty)} \searrow 0\) 입니다.

그러면 Lebesgue measure \(m\)에 대하여 \[\infty = \int \chi_{[n, \infty)} \,d{m} \neq \int 0 \,d{m} = 0\] 이 되어 단조 수렴 정리가 성립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난 번에 \(f \geq 0\) 가 measurable이면 증가하는 measurable simple 함수열 \(s_n\)이 존재함을 보였고, 이 \(s_n\)에 대하여 적분값을 계산하여 \[\int_E s_n \,d{\mu} = \sum_{i=1}^{n2^n} \frac{i - 1}{2^n}\mu\left( \left\{x \in E : \frac{i-1}{2^n} \leq f(x) \leq \frac{i}{2^n}\right\} \right) + n\mu(\{x \in E : f(x)\geq n\})\] 라는 결과까지 얻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f(x) = \displaystyle\lim_{n\rightarrow\infty} s_n(x)\] 이기 때문에, 단조 수렴 정리에 의해 \[\int_E f \,d{\mu} = \lim_{n\rightarrow\infty} \int_E s_n \,d{\mu}\] 가 성립하여 기대했던 결과를 얻었습니다. 지난 번 설명한 것처럼, 이는 곧 르벡 적분은 치역을 잘게 잘라 넓이를 계산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다음은 단조 수렴 정리를 활용하여 유용한 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예제입니다.

참고. Measurable function \(f, g \geq 0\) 과 \(\alpha, \beta \in [0, \infty)\)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nt_E \left( \alpha f + \beta g \right) \,d{\mu} = \alpha \int_E f \,d{\mu} + \beta \int_E g\,d{\mu}.\]

증명. Measurable function은 measurable simple function으로 근사할 수 있고, \(f, g \geq 0\) 이므로 단조증가하도록 잡을 수 있다. 그러므로 measurable simple function \(f_n\), \(g_n\)에 대하여 \(0 \leq f_n \leq f_{n+1} \nearrow f\), \(0 \leq g_n \leq g_{n+1} \nearrow g\) 으로 잡는다.

그러면 \(\alpha f_n + \beta g_n \nearrow \alpha f + \beta g\) 이고 \(\alpha f_n + \beta g_n\) 은 단조증가하는 measurable simple 함수열이다. 따라서 단조 수렴 정리에 의해 \[\int_E \left( \alpha f_n + \beta g_n \right) \,d{\mu} = \alpha \int_E f_n \,d{\mu} + \beta \int_E g_n \,d{\mu} \rightarrow\alpha \int_E f \,d{\mu} + \beta \int_E g\,d{\mu}\] 이다.

이와 비슷한 방법을 급수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정리. Measurable function \(f_n: X \rightarrow[0, \infty]\) 에 대하여 \(\sum_{n=1}^\infty f_n\)는 measurable이고, 단조 수렴 정리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int_E \sum_{n=1}^\infty f_n \,d{\mu} = \sum_{n=1}^\infty \int_E f_n \,d{\mu}.\]

증명. \(\sum_{n=1}^\infty f_n\)는 measurable function의 극한이므로 measurable이다. 무한급수를 부분합의 극한으로 생각하면 \(f_n \geq 0\) 이므로 부분합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조 수렴 정리를 적용하여 결론을 얻는다.


단조 수렴 정리와 동치인 수렴 정리를 하나 더 소개합니다. Fatou lemma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리. (Fatou) \(f_n \geq 0\) 가 measurable이고 \(E\)가 measurable이라 하자. 다음이 성립한다. \[\int_E \liminf_{n\rightarrow\infty} f_n \,d{\mu} \leq \liminf_{n\rightarrow\infty} \int_E f_n \,d{\mu}.\]

증명. \(g_n = \displaystyle\inf_{k \geq n} f_k\) 으로 두면 \(\displaystyle\lim_{n \rightarrow\infty} g_n = \liminf_{n\rightarrow\infty} f_n\) 이다. \(g_n\)이 증가함은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g_n \geq 0\) 이다. \(g_n\)의 정의로부터 모든 \(k \geq n\) 에 대하여 \(g_n \leq f_k\) 이므로, \[\int_E g_n \,d{\mu} \leq \inf_{k\geq n} \int_E f_k \,d{\mu}\] 이다. 여기서 \(n \rightarrow\infty\) 로 두면 \[\int_E \liminf_{n\rightarrow\infty} f_n \,d{\mu} = \lim_{n \rightarrow\infty} \int_E g_n \,d{\mu} \leq \lim_{n \rightarrow\infty} \inf_{k \geq n}\int_E f_k \,d{\mu} = \liminf_{n \rightarrow\infty} \int_E f_n \,d{\mu}\] 이 된다. 여기서 첫 번째 등호는 단조 수렴 정리에 의해 성립한다.

참고. 위 증명에서는 단조 수렴 정리를 활용했습니다. 반대로 이 정리를 가정하면 단조 수렴 정리를 증명할 수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 둘은 동치입니다. 증명은 생략합니다.

참고. 왠지 위와 비슷한 결론이 \(\limsup\)에 대해서도 성립해야 할 것 같습니다. 구체적으로, \[\int_E \limsup_{n \rightarrow\infty} f_n \,d{\mu} \geq \limsup_{n \rightarrow\infty} \int_E f_n \,d{\mu}\] 일 것 같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반례로 앞서 소개한 \(\chi_{[n, \infty)}\)를 한 번 더 가져올 수 있습니다. 좌변을 계산해 보면 0이지만, 우변을 계산해 보면 \(\infty\)입니다. 나중에 소개하겠지만, \(\left| f_n \right| \leq g\) 를 만족하는 함수 \(g \in \mathcal{L}^{1}\) 가 존재해야 위 부등식이 성립합니다.

참고. 르벡 적분의 몇 가지 성질을 소개하고 마칩니다.

  1. \(f\)가 measurable이고 \(E\)에서 bounded이며 \(\mu(E) < \infty\) 일 때, 적당한 실수 \(M > 0\) 에 대하여 \(\left| f \right| \leq M\) 이므로 \[\int_E \left| f \right| \,d{\mu} \leq \int_E M \,d{\mu} = M\mu(E) < \infty\] 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f \in \mathcal{L}^{1}(E, \mu)\) 입니다. \(E\)의 measure가 finite라는 가정 하에, bounded function은 모두 르벡 적분 가능합니다.
  2. \(f, g \in \mathcal{L}^{1}(E, \mu)\) 이고 \(E\)에서 \(f \leq g\) 일 때, 단조성이 성립함을 보이려고 합니다. 앞에서는 \(0 \leq f \leq g\) 인 경우에만 단조성을 증명했었는데, 이를 확장하여 함수가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도 증명하고 싶습니다. 그러므로 양수인 부분과 음수인 부분을 나누어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습니다. \[\chi_E (x) f^+(x) \leq \chi_E(x) g^+(x), \qquad \chi_E(x) g^-(x) \leq \chi_E (x) f^-(x)\] 이로부터 \[\int_E f^+ \,d{\mu} \leq \int_E g^+ \,d{\mu} < \infty, \qquad \int_E g^- \,d{\mu} \leq \int_E f^- \,d{\mu} < \infty\] 를 얻습니다. 따라서 \[\int_E f\,d{\mu} \leq \int_E g \,d{\mu}\] 가 성립하고, 함수가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도 단조성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3. \(f \in \mathcal{L}^{1}(E, \mu)\), \(c \in \mathbb{R}\) 라 하면 \(cf \in \mathcal{L}^{1}(E, \mu)\) 입니다. 왜냐하면 \[\int_E \left| c \right|\left| f \right| \,d{\mu} = \left| c \right| \int_E \left| f \right|\,d{\mu} < \infty\] 이기 때문입니다. 적분이 가능하니 실제 적분값을 계산할 때 선형성이 성립했으면 좋겠습니다. 앞에서는 음이 아닌 실수에 대해서만 증명했었는데, 이도 마찬가지로 확장하려 합니다. \(c < 0\) 인 경우만 보이면 됩니다. 이 때, \((cf)^+ = -cf^-\), \((cf)^- = -cf^+\) 이므로, 다음이 성립합니다. \[\int_E cf \,d{\mu} = \int_E (cf)^+ - \int_E (cf)^- \,d{\mu} = -c \int_E f^- \,d{\mu} - (-c) \int_E f^+ \,d{\mu} = c\int_E f\,d{\mu}.\]
  4. Measurable function \(f\)에 대하여 \(E\)에서 \(a \leq f(x) \leq b\) 이고 \(\mu(E) < \infty\) 일 때 다음이 성립합니다. \[\int_E a \chi_E \,d{\mu} \leq \int_E f\chi_E \,d{\mu} \leq \int_E b \chi_E \,d{\mu} \implies a \mu(E) \leq \int_E f \,d{\mu} \leq b \mu(E).\] \(f\)가 르벡 적분 가능하다는 사실은 \(f\)가 bounded라는 사실을 이용합니다.
  5. \(f \in \mathcal{L}^{1}(E, \mu)\) 와 measurable set \(A \subseteq E\) 가 주어지는 경우, \(f\)는 \(E\)의 부분집합인 \(A\) 위에서도 르벡 적분 가능합니다. 이는 다음 부등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t_A \left| f \right| \,d{\mu} \leq \int_E \left| f \right|\,d{\mu} < \infty.\]
  6. 만약 measure가 0인 집합에서 적분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 \(\mu(E) = 0\) 라 하고, measurable function \(f\)를 적분해 보겠습니다. 여기서 \(\min\{\left| f \right|, n\}\chi_E\) 도 measurable이며 \(n \rightarrow\infty\) 일 때 \(\min\{\left| f \right|, n\}\chi_E \nearrow \left| f \right|\chi_E\) 임을 이용합니다. 마지막으로 단조 수렴 정리를 적용하면 \[\begin{aligned} \int_E \left| f \right| \,d{\mu} &= \lim_{n \rightarrow\infty} \int_E \min\{\left| f \right|, n\} \,d{\mu} \\ &\leq \lim_{n \rightarrow\infty} \int_E n \,d{\mu} = \lim_{n \rightarrow\infty} n\mu(E) = 0 \end{aligned}\] 임을 얻습니다. 따라서 \(f \in \mathcal{L}^{1}(E, \mu)\) 이고, \(\displaystyle\int_E f \,d{\mu} = 0\) 가 되어 적분값이 0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measure가 0인 집합 위에서 적분하면 그 결과는 0이 됩니다.1

다음 글에서는 르벡 수렴 정리를 소개하겠습니다.


  1. 편의상 \(0\cdot\infty = 0\) 으로 정의했기 때문에 \(f \equiv \infty\) 인 경우에도 성립합니다.↩︎

'Mathematics > Measure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Comparison with the Riemann Integral  (0) 2023.06.20
07.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0) 2023.04.07
05. Lebesgue Integration  (0) 2023.02.13
04. Measurable Functions  (0) 2023.02.06
03. Remarks, Measure Spaces  (0) 2023.01.24
02. Construction of Measure  (0) 2023.01.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