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thematics/Measure Theory

05. Lebesgue Integration

by zxcvber 2023. 2. 13.

Lebesgue Integration

르벡 적분을 단계적으로 정의하려고 합니다. \(X = (X, \mathscr{F}, \mu)\) 라고 계속 가정합니다. \(\mathscr{F}\)는 \(\sigma\)-algebra on \(X\), \(\mu\)는 \(\mathscr{F}\)의 measure 입니다.

\(E \in \mathscr{F}\) 일 때, 적분을 정의하기 위해 \[\mathscr{F}_E = \{A \cap E : A \in \mathscr{F}\}, \quad \mu_E = \mu|_{\mathscr{F}_E}\] 로 설정하고 \(\int = \int_E\) 로 두어 (\(X, \mathscr{F}_E, \mu_E\)) 위에서 적분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굳이 이렇게 하지 않아도 됩니다. \(\int = \int_X\) 로 두고 \[\int_E f \,d{\mu} = \int f \chi _E \,d{\mu}\] 로 정의하면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이제 르벡 적분을 다루기 위해 simple function부터 적분해보겠습니다. 우선 가장 간단한 characteristic function부터 단계를 밟아나가야 합니다.

(Step 1) \(A \in \mathscr{F}\) 에 대하여 \[\int \chi_A \,d{\mu} = \mu(A)\] 로 정의한다.

함수 \(\chi_A\)는 \(x \in A\) 일 때만 함숫값 \(1\)을 갖고 이외의 경우에는 \(0\)이기 때문에 이 함수를 \(X\) 위에서 적분하면 ‘\(A\)의 길이’에 대응되는 \(\mu(A)\)가 결과인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다음으로 양의 값을 갖는 measurable simple function에 대해 정의합니다. \(f = f^+ - f^-\) 에서 \(f^+, f^-\) 모두 양의 값을 갖기 때문에 양의 값에 대해 먼저 정의합니다.

(Step 2) \(f: X \rightarrow[0, \infty)\) 가 measurable simple function이라 하자.
그러면 \(A_k \subseteq\mathscr{F}\) 이면서 쌍마다 서로소인 집합열 \(\left( A_k \right)_{k=1}^n\)과 \(a_k \in [0, \infty)\) 인 수열 \(\left( a_k \right)_{k=1}^n\)을 잡아 \[f(x) = \sum_{k=1}^n a_k \chi_{A_k}\]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제 \[\int f\,d{\mu} = \sum_{k=1}^n a_k \mu(A_k) \in [0, \infty]\] 로 정의한다.

Measurable simple function은 measurable characteristic function의 linear combination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정의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정의를 보면 well-definedness를 제일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위와 같은 linear combination 표현이 유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Well-definedness를 증명하기 위해 임의의 linear combination을 잡아도 적분값이 항상 같음을 보이면 됩니다.

명제. 위 정의는 모든 measurable simple function에 대해 well-defined이다.

증명. \(f\)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표현된다고 하자. \[f(x) = \sum_{k=1}^n a_k \chi_{A_k} = \sum_{i=1}^m b_i \chi_{B_i}.\] 여기서 \(k = 1, \dots, n\), \(i = 1, \dots, m\) 에 대하여 \(0\leq a_k, b_i < \infty\) 이고 \(A_k, B_i \in \mathscr{F}\) 이다. 여기서 \(A_k, B_i\)는 각각 쌍마다 서로소로, \(X\)의 분할이 된다. \(C_{k, i} = A_k \cap B_i\) 로 두면 \[\sum_{k=1}^n a_k \mu(A_k) = \sum_{k=1}^n a_k \mu\left( A_k \cap \bigcup_{i=1}^m B_i \right) = \sum_{k=1}^n \sum_{i=1}^m a_k \mu(C_{k, i}),\] \[\sum_{i=1}^m b_i \mu(B_i) = \sum_{i=1}^{m} b_i \mu\left( B_i \cap \bigcup_{k=1}^n A_k \right)= \sum_{i=1}^m \sum_{k=1}^n b_i \mu(C_{k, i})\] 이다. 이 때 \(C_{k, i} \neq \varnothing\) 이면 \(x \in C_{k, i}\) 에 대해 \(f(x) = a_k = b_i\) 가 된다. 한편 \(C_{k, i} = \varnothing\) 이면 \(\mu(C_{k, i}) = 0\) 이다. 이로부터 모든 \(k, i\)에 대하여 \(b_i \mu(C_{k, i}) = a_k \mu(C_{k, i})\) 임을 알 수 있다.1 따라서 \[\int f \,d{\mu }= \sum_{k=1}^n a_k \mu(A_k) = \sum_{i=1}^m b_i \mu(B_i)\] 가 되어 적분값은 유일하고 위 정의가 well-defined임을 알 수 있다.

이제 measurable simple function은 얼마든지 적분할 수 있습니다. 이제 다음은 measurable function으로 확장할 단계입니다. 확장을 편하게 하기 위해 약간의 준비 작업을 거치겠습니다.

적분은 선형이고, monotonicity를 항상 유지하기를 기대합니다. 아직은 함수가 \(0\)보다 클 것을 가정했기 때문에 이를 계속 활용합니다.

참고. \(a, b \in [0, \infty)\) 와 measurable simple function \(f, g \geq 0\) 에 대하여 \[\int \left( af + bg \right) \,d{\mu} = a \int f \,d{\mu} + b \int g \,d{\mu}\] 이다.

증명. 위 Step 2와 동일하게 \[f = \sum_{j=1}^m y_j \chi_{A_j}, \quad g = \sum_{k=1}^n z_k \chi_{B_k}\] 로 둘 수 있다. 여기서 \(A_j, B_k\)는 \(X\)의 분할이고 \(y_j, z_k \geq 0\) 이다. 마찬가지로 \(C_{j, k} = A_j \cap B_k\) 로 정의하면 \[\begin{aligned} a \int f \,d{\mu} + b \int g \,d{\mu} & = \sum_{j} ay_j \mu(A_j) + \sum_k b z_k \mu(B_k) \\ & = \sum_{j} ay_j \sum_k \mu(A_j \cap B_k) + \sum_k b z_k \sum_j \mu(B_k \cap A_j) \\ & = \sum_{j} \sum_k ay_j \mu(C_{j, k}) + \sum_k \sum_j b z_k \mu(C_{j, k}) \\ & = \sum_{j, k} (ay_j + bz_k) \mu(C_{j, k}) = \int \left( af + bg \right) \,d{\mu} \end{aligned}\] 이다.

참고. \(f \geq g \geq 0\) 이 measurable simple function일 때, \[\int f \,d{\mu} \geq \int g \,d{\mu}\] 이다.

증명. \(f - g \geq 0\) 이 simple이고 measurable임을 활용한다. \[\int f \,d{\mu} = \int \left[g + (f - g)\right] \,d{\mu} = \int g\,d{\mu} + \int (f - g) \,d{\mu} \geq \int g \,d{\mu} \geq 0.\]

위와 같이 \(g + (f-g)\) 로 변형해야 하는 이유는 \(g\)의 적분값이 무한대인 경우 이를 이항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f-g\) 의 적분값이 \(0\) 이상인 것은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양의 값을 가지는 임의의 measurable function을 고려해 보겠습니다.

(Step 3) \(f: X \rightarrow[0, \infty]\) 가 measurable일 때, \[\int f \,d{\mu} = \sup\left\{\int h \,d{\mu}: 0\leq h \leq f, h \text{ measurable and simple}\right\}.\] 로 정의한다.

\(f\)보다 작은 measurable simple function의 적분값 중 상한을 택하겠다는 의미입니다. \(f\)보다 작은 measurable simple function으로 \(f\)를 근사한다고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f\)가 simple function이면 Step 2의 정의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f \geq 0\) 가 measurable이면 증가하는 measurable simple 함수열 \(s_n\)이 존재함을 지난 번에 보였습니다. 이 \(s_n\)에 대하여 적분값을 계산해보면 \[\int_E s_n \,d{\mu} = \sum_{i=1}^{n2^n} \frac{i - 1}{2^n}\mu\left( \left\{x \in E : \frac{i-1}{2^n} \leq f(x) \leq \frac{i}{2^n}\right\} \right) + n\mu(\{x \in E : f(x)\geq n\})\]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n \rightarrow\infty\) 일 때 우변이 곧 \(\displaystyle\int f \,d{\mu}\) 이기를 기대합니다.

위 내용에 대한 증명은 추후 다루도록 하고 식의 의미를 이해해 보겠습니다. 르벡 적분은 치역을 잘게 잘라 자른 치역 부분의 preimage에 대해 measure를 사용하여 길이를 잽니다. 그리고 함숫값과 preimage의 measure를 곱한 뒤 더해 넓이를 계산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리만 적분은 정의역을 잘게 잘라 상합/하합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과는 다른 접근 방법입니다.

이제 마지막 단계입니다. 임의의 measurable function에 대해 정의합니다.

(Step 4) \(f\)가 measurable이면 \(f^+, f^- \geq 0\) 도 measurable이다. 그러므로 \(E \in \mathscr{F}\) 에 대하여 \[\int_E f \,d{\mu} = \int_E f^+ \,d{\mu} - \int_E f^- \,d{\mu}\] 와 같이 정의한다. 단, 우변에서 \(\infty - \infty\) 가 등장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우변에서 \(\infty - \infty\) 인 경우는 제외되었기 때문에 \(f^+\), \(f^-\)의 적분값 둘 중 하나는 유한해야 합니다.

위 내용을 종합하여 다음 정의를 얻습니다.

정의. (르벡 적분 가능) \(f\)가 measurable이고, \[\int_E \left| f \right| \,d{\mu} = \int_E f^+ \,d{\mu} + \int_E f^- \,d{\mu} < \infty\] 이면 \(f\)가 \(E\)에서 \(\mu\)에 대해 르벡 적분 가능하다고 한다.

표기법. \(f\)가 \(E\)에서 \(\mu\)에 대해 르벡 적분 가능하면 \[f \in \mathcal{L}^1(E, \mu)\] 로 표기한다. 특별히 \(\mu = m\) 이면 \(f \in \mathcal{L}^1(E)\) 로 적는다.

즉 다음이 성립합니다. \[f \in \mathcal{L}^{1}(E, \mu) \iff f^+, f^- \in \mathcal{L}^{1}(E, \mu)\iff \left| f \right| \in \mathcal{L}^{1}(E, \mu).\]


다음 글에서는 르벡 적분의 성질과 수렴 정리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계수가 같거나, measure가 0이 되어 같거나.↩︎

'Mathematics > Measure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Comparison with the Riemann Integral  (0) 2023.06.20
07.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0) 2023.04.07
06. Convergence Theorems  (0) 2023.03.25
04. Measurable Functions  (0) 2023.02.06
03. Remarks, Measure Spaces  (0) 2023.01.24
02. Construction of Measure  (0) 2023.01.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