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rison with the Riemann Integral
먼저 혼동을 막기 위해 Lebesgue measure
정리.
이면 이고 이다. 가 연속 -a.e. on .
쉽게 풀어서 적어보면, (1)은
또한 (2)는 리만 적분 가능성에 대한 동치 조건을 알려줍니다. Almost everywhere라는 조건이 붙었기 때문에,
증명.
그러면 리만 적분의 정의로부터
이제 measurable simple function
그러므로
위 사실을 종합하면
(1) 위 논의에 의해
(2) 만약
위 부등식에 의해
따라서,
아래는 증명의 부산물입니다.
참고.
이면 가 에서 연속 이다. 이고 measurable function의 극한인 또한 measurable이다. 가 유계라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인 경우만 생각해도 충분하다. 라고 하면 대신 을 생각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제 리만 적분의 유용한 성질들을 가지고 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고 measurable일 때, 으로 정의한다. 단조 수렴 정리에 의해 이다. 마지막 적분을 리만 적분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닫힌 유계 구간
에 대하여 라 하면 이다. 으로 잡으면 이므로 지배 수렴 정리를 적용하여 임을 알 수 있다. - 마찬가지로
으로 잡은 경우에도 지배 수렴 정리에 의해 이 된다.
'Mathematics > Measure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0) | 2023.04.07 |
---|---|
06. Convergence Theorems (0) | 2023.03.25 |
05. Lebesgue Integration (1) | 2023.02.13 |
04. Measurable Functions (0) | 2023.02.06 |
03. Remarks, Measure Spaces (0) | 2023.01.24 |
02. Construction of Measure (0) | 2023.01.23 |
댓글